통장 쪼개기! 월급 생활비 저축 비상금 통장 4개 만들기

통장 쪼개기! 월급 생활비 저축 비상금 통장 4개 만들기

월급 관리의 핵심은 급여통장, 생활비통장, 저축통장, 비상금통장 등으로 통장을 나누어 재정 계획을 세우는 것입니다. 적절한 금액 분담과 통장 활용으로 불필요한 지출을 줄이고 저축 습관을 기르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1. 월급통장

직장 생활을 하는 경우 한 달 월급이 급여 통장으로 입금이 됩니다. 우선 급여를 받게 되면 급여통장에는 0원이 되어야 합니다. 그 이유는 급여통장 하나에 돈이 모여 있고 계속해서 돈이 쌓이게 되어 계획에 없거나 지출이 필요 없는 곳에 가볍게 돈을 사용하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고속도로 휴게소와 같습니다. 고속도로를 달리다 나오는 휴게소마다 들리는 것과 똑같습니다. 휴게소에 들리면 맛있는 음식이나 간식, 커피, 물건 등을 사 먹거나 물건 등을 구매하게 됩니다. 매번 휴게소를 들리기 때문에 생각지 않은 불필요한 지출이 늘어나게 됩니다. 그러므로 급여 통장에 돈을 모아두거나 오랫동안 나두지 않는 게 좋습니다. 가장 좋은 방법은 급여 통장에 잔고는 0원이 되는 게 좋습니다.


2. 생활비 통장



급여를 받기 전까지 생활할 수 있는 돈을 분담해 놓는 것입니다. 좀 더 세부적으로 생활비 통장을 나눈다면 고정 지출 통장과 유동 지출 통장을 구분해서 돈을 넣어둘 수 있지만 그렇지 않다면 생활비 통장 하나에 묶어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고정 지출은 월세, 통신비, 보험 등이 있고 유동 지출은 식비, 외식비, 문화비 등이 있습니다. 따라서 그 달에 쓸 만큼의 지출을 넣어두면 됩니다. 그런데, 너무 지나치게 절약할 생각으로 한 달에 20만 원, 30만 원 등 단정해서 통장을 쪼개기면 너무 힘들어서 실패할 수도 있습니다. 그러므로 한 달 생활비로 들어가는 금액이 어느 정도인지 파악한 후에 그 정도만큼의 금액을 생활비 통장에 넣어두는 것이 좋습니다.


3. 저축 통장

일반적으로 선저축, 후지출이라는 말을 하듯이 저축은 중요한 부분 중의 하나입니다. 저축에는 다양한 종류가 있지만 이왕이면 통장 쪼개기를 처음 시작할 때는 정기저축을 가입하는 것이 좋습니다. 정기저축을 가입하면 매달 저축하는 습관이 생기게 됩니다. 만일 여유자금이 있다면 수시 적금까지 가입하면 더 좋습니다.


4. 비상금 통장

직장을 다니다 보면 비정기적으로 받는 보너스나 상여금 등이 있습니다. 이 돈은 비상금 통장에 예치를 합니다. 금액은 급여의 1 ~ 3개월 치 넣어둡니다. 비상금 통장에 있는 돈은 예를 들어 조의금, 축의금, 집안 행사, 병원비 등 예상치 못한 일이 발생했을 때 사용할 수 있는 돈입니다. 그런데 만일 이런 애경사가 없고 급하게 사용할 만한 곳이 없을 때 비상금 통장에는 돈이 쌓이게 됩니다. 이런 경우 이 돈을 일반 입출금 통장에 넣어두면 금리가 별로 쌓이지 않습니다. 이때 활용할 수 있는 통장은 CMA 통장과 MMF 통장입니다.


5. 여유 돈이 있는 경우

CMA 통장은 증권사나 종합금융사의 통장으로 체크카드가 발급되는 장점이 있는 통장입니다. MMF 통장은 은행에서 쉽게 가입할 수 있는 펀드 상품 통장입니다. 이것은 단기에 이용하기 좋고 ATM기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CMA 통장과 MMF 통장의 공통점은 매일매일 이자가 쌓입니다. 이자는 연 3%대 이상 ~ 5%대까지 증권사, 금융사, 은행마다 조금씩 다릅니다. 이 통장들을 통해 매일 조금씩이라도 이자로 수익을 내는 것이 좋습니다.


6. 마무리

합리적인 통장을 관리가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우선 월급을 받으면 통장을 쪼개는 것이 좋습니다. 통장을 크게 4가지 형태로 쪼개는 이유는 한 통장에 돈이 모여 있으면 사람의 심리상 이만큼의 돈을 모았기 때문에 보상심리가 생기게 됩니다. 그렇게 되면 필요 이상의 지출을 할 수밖에 없습니다. 그리고 중요한 것은 자신이 한 달에 정확히 얼마의 돈을 지출하는지, 당장 사용할 수 있는 비상금이나 잉여자금은 얼마가 되는지 파악하기 애매하기도 합니다. 따라서 통장은 기본적으로 급여통장, 저축통장, 생활비(소비) 통장, 비상금 통장 4개로 분리하는 게 좋습니다.


통장을 여러 개로 쪼갤 경우 한 가지 주의할 점은 만일 생활비 통장에 돈이 부족해서 비상금 통장에서 꺼내 쓰거나 비상금 통장에 돈이 부족해서 생활비 통장에서 돈을 꺼내 쓰는 것입니다. 이렇게 되면 통장 쪼개기는 실패할 수밖에 없습니다. 그러므로 적정한 금액을 파악해서 각 통장에 분담해 놓는 것이 좋습니다.

Similar Posts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