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에 이물질 들어갔을때 이물질 빼는법 아무것도 없는데 이물감

눈에 이물질 들어갔을때 이물질 빼는법 아무것도 없는데 이물감

눈은 외부 환경에 노출되기 때문에 쉽게 이물질이 들어갈 수 있습니다. 또는 속눈썹이 빠져 눈속에 들어가거나 콘택트 렌즈 착용 등으로 인해 이물감을 느낄 때가 있습니다. 오늘은 눈에 이물질 들어갔을때 상황을 중심으로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눈에 이물질 들어갔을때

눈에 이물감을 느낄 때 손으로 눈을 비비는 행동은 각막이나 결막에 손상을 주거나 상태를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에는 상황에 맞게 적절히 대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1. 흐르는 물로 세척하기

흐르는 물을 이용하는 것은 가장 간단하고 빠르게 대처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깨끗한 흐르는 물을 눈에 살짝 흘려보내면, 이물질이 자연스럽게 씻겨 나가게 됩니다.

이때 고여 있는 물은 고여 있는 물은 세균이나 불순물이 포함될 수 있어 사용하지 않도록 합니다. 또한, 손이 눈에 닿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손이 눈에 닿는 것은 감염이나 추가적인 손상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반드시 흐르는 물에 씻겨내야 합니다.

2. 젖은 면봉이나 천으로 제거하기

거울을 통해 이물질이 보인다면, 젖은 면봉이나 천을 사용해 조심스럽게 눌러서 제거할 수 있습니다. 젖은 면이 먼지를 잘 붙잡아내기 때문에 효과적입니다.

그러나 너무 세게 문지르거나 여러 방향으로 비비는 것은 피해야 합니다. 이는 각막이나 결막에 손상을 줄 수 있습니다.

3. 렌즈 착용 시 대처하기

콘택트 렌즈를 착용한 상태에서 이물질이 들어갔다면, 즉시 렌즈를 제거하고 위의 방법을 사용해 이물질을 제거해야 합니다. 이후에는 생리 식염수 등을 이용해 렌즈를 깨끗이 세척해 주는 것이 좋습니다.

참고로, 콘택트 렌즈를 착용한 상태에서 잠들거나 이물질이 들어갔을 때 렌즈가 눈 뒤로 넘어갈까 걱정합니다.

하지만 실제로는 결막이라는 투명한 점막이 우리 눈을 보호하고 있습니다.

결막은 눈의 흰자와 눈꺼풀을 연결하는 주머니 형태로 되어 있어, 이물질이 쉽게 넘어갈 수 없도록 막아줍니다.

따라서 이물질이 사라졌다고 해서 눈 뒤로 넘어갔을 것이라는 걱정은 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4. 병원 방문하기

앞서 설명드린 방법을 통해 눈에 이물질이 빠지지 않았을 때, 통증이 느껴질 때, 날카로운 물체가 눈에 들어갔을 때, 이런 경우에는 즉시 병원을 방문하여 전문의의 도움을 받는 것이 가장 안전합니다.

날카로운 물체나 이물질이 각막을 긁거나 찌르면 심각한 각막 손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는 통증, 시력 저하, 눈물 흘림 등의 증상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눈에 아무것도 없는데 이물감이 느껴질 때

1. 눈 건조함

눈물이 부족하거나 눈의 수분이 증발하면 이물감이 느껴질 수 있습니다. 인공눈물이나 수분을 공급하는 제품을 사용하면 도움이 됩니다.

2. 눈 피로

장시간 컴퓨터나 스마트폰을 사용하면 눈이 피로해져 이물감이 느껴질 수 있습니다.

이럴 때는 눈을 자주 깜빡이거나 20-20-20 규칙(20분마다 20피트(약 6미터) 떨어진 곳을 20초간 바라보기)을 실천하는 것이 좋습니다.

3. 알레르기 반응

꽃가루, 먼지, 애완동물의 털 등 알레르기 유발 물질에 노출되면 눈이 가렵거나 이물감이 느껴질 수 있습니다. 이 경우 항히스타민제나 인공눈물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4. 눈 염증

결막염이나 기타 염증이 있을 경우에도 이물감이 느껴질 수 있습니다. 이럴 경우에는 전문의의 진료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눈 건강을 지키기 위해 항상 주의하고, 필요할 때는 적절한 조치를 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마치며

눈에 이물질 들어갔을때, 즉각적인 대처가 중요하며, 흐르는 물로 세척하거나 젖은 면봉으로 조심스럽게 제거하는 방법이 효과적입니다.

콘택트 렌즈를 착용 중이라면 렌즈를 즉시 제거하고 적절한 조치를 취해야 합니다. 눈 건강을 지키기 위해 정기적인 검진과 예방 조치를 실천하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Similar Posts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